13월의 월급이라고도 하는 연말정산!
그러나 월급이라기보다는 생돈(?)이 나가는 경우가 많죠?
해마다 꼬박꼬박 연말정산 자료를 챙기는데도 환급을 받는 게 쉽지는 않네요.
연말정산이란?
1년 동안 개인이 벌어들인 종합소득에서 각종 비용을 공제하여 정산하는 절차.
지난 1년 간 급여 등에서 납부한 세금 중 필요 이상으로 과금되었거나 누락된 사항은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번 2021년 연말정산은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미리 알아보고 대비하는 것이 좋겠지요?
1. 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득공제율 확대
- 코로나 19로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2021년 연말정산 소득공제율 한시적 확대
- 원래 소득 공제율은 1년 동안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2021년 연말정산시에는 사용 월에 따라 차등 적용
특히 유난히 힘들었던 3월, 4월~7월의 소득공제율을 높여줌
- 근로자의 세부담 완화 및 문화생활 지원을 위하여 도서, 공연, 박물관, 미술관 공제 항목에 신문구독료가 추가되어 소득공제 범위 확대 (단,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경우만 대상자가 됨)

2. 신용카드 소득공제한도액 한시적 상향
- 기존 소득공제 한도액 :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300만원
총 급여 7만 원 초과 ~ 1억 2천만 원 이하 250만 원
총 급여 1억 2천만 원 초과 ~ 200만 원
- 올해 : 구간마다 각각 30만 원씩 한시적으로 상향

3. 세액 감면 대상 및 요건 확대
- 중소기업 취업자의 소득세를 감면,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감면이 확대됨

4. 비과세 확대, 완화
-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가 2021년 연말정산부터 총 급여에 포함되지 않는 비과세 근로소득에 속하게 됨 (2020.01.01 이후 발생 소득분부터 적용)
- 생산직 근로자의 연장근로수당 기준 완화 : 2천 5백만 원 → 3천만 원
- 벤처기업 소속 임직원의 스톡옵션 행사 이익에 대한 비과세 한도 늘어남 : 2천만 원 → 3천만 원
소득공제율의 인상은 2020년 경제상황을 고려한 한시적 적용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하며 내년부터는 축소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기 (0) | 2021.01.13 |
---|---|
2021년 달라지는 것들 - 정책, 제도 등 (0) | 2021.01.12 |
토니모리 꽝없는 100% 당첨 이벤트 (12.22 ~ 12.31) (0) | 2020.12.26 |
배달의 민족 선물하기 이벤트 (0) | 2020.12.25 |
베스킨라빈스 폴딩카트 수령 (1) | 202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