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보험사의 올해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인상률이 '눈치작전' 끝에 최고 19.6%로 확정됐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고용진 의원에게 금융위원회가 제출한 자료를 보면 손해보험 주요 4사의 실손보험 인상률이 상품유형에 따라 평균 11.9∼19.6%로 파악됐다.
2009년 9월까지 팔린 '1세대' 구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7.5∼19.6%, 이후 2017년 3월까지 팔린 표준화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1.9∼13.9% 각각 올랐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4개 주요 손보사 중 삼성화재의 구실손 인상률이 19.6%로 가장 높다.
ㅊ 2021년 손해보2021년 손해보험사 실손보험 유형별 인상률(%) ≫
3개 주요 생명보험사(삼성·한화·교보생명)는 구실손보험을 평균 8∼18.5%, 표준화실손보험을 평균 9.8∼12.0% 각각 인상했다.
이 가운데 삼성생명의 구실손 인상률이 가장 높다.
중소 보험사까지 통틀어 20% 넘는 인상률을 적용한 곳은 롯데손해보험으로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평균 21.2%와 평균 23.9% 올렸다. 롯데손보는 금융당국과 경영개선협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한 해 인상률 상한선 25%를 넘길 수 있다.
경영개선협약에 따라 작년에 50%대 인상률을 적용한 한화손해보험은 지난해 경영실적이 크게 개선되며 올해 구실손과 표준화실손 보험료 인상률을 각각 6.8%와 8.2%로 결정했다.
2017년 4월 이후 팔린 신실손보험은 생·손보사 모두 보험료를 동결했다.
≪ 2021년 생명보험사 실손보험 유형별 인상률 ≫
올해 실손보험료 인상률은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이다.
작년 상반기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의 위험손해율이 각각 143%와 132%를 기록해 큰 적자가 났기 때문이다.
위험손해율이란 계약자가 납입한 보험료에서 사업운영비를 제외한 '위험보험료' 대비 보험금 지급액의 비율을 뜻한다.
가입자는 3∼5년 갱신 주기가 돌아올 때마다 실제 인상이 단행되므로 체감 인상률이 대체로 50%가 넘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2∼3배가 오른 고지서를 받는 일도 흔하다.
적자가 특히 심한 구실손보험은 각 사가 금융당국의 '마지노선' 20%에 최대한 근접하게 보험료를 올리려고 눈치작전을 벌인 것이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의료 관리대책이 없다면 내년에도 갱신 보험료 폭탄 논란이 재현될 것이다.
기존에 질병이 있어서 정기적으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가입자들은 갱신보험료가 부담되더라도 계속 유지하는 게 낫다고 해요.
할증되는 보험료가 할인폭보다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특히 나이나 건강 상태에 따라서 4세대 실손 보험 가입을 아예 거절당할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극히 일부 '나는 지금 정말 건강하고 앞으로도 병원에 거의 갈 일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 또 너무 바빠서 비급여 진료 같은 건 받을 일이 없는 분들은 4세대 실손에 가입하셔도 괜찮기는 합니다.
다만, 지금 당장은 보험료가 낮아 보일 수 있지만, 또 언제 어떻게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할지 모르니이런 부분까지 모두 고려하셔서 결정하셔야 합니다.
앞으로도 보험사들이 기존 실손보험료를 계속 인상해서 해지를 유도하고 4세대 보험 가입을 권유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가입자들의 혜택은 점점 줄어드는 셈입니다.
일부 의료 쇼핑을 하는 사람들도 문제지만, 1년에 병원을 몇 번 가지도 않는 다수의 선량한 가입자들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습니다.
금융당국과 보험사는 단순하게 보험료 인상으로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좀 획기적인 해결책을 내놔야겠습니다.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한 임대인 세액 공제 제도 (0) | 2021.03.23 |
---|---|
법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4월 말 → 7월 말) (0) | 2021.03.15 |
2021년 공모주 일정 (0) | 2021.03.06 |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 등 빅테크와 핀테크기업도 보험대리점 등록 가능 (0) | 2021.03.06 |
거리두기 5 → 4단계로 개편 (2) | 202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