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모주)

라온테크 공모주 청약 일정

따뜻한 콧물 2021. 6. 2. 10:18
반응형

라온테크

 

총 공모 주식수: 500,000주
일반 청약자 공모주식수: 125,000~150,000주
희망공모가: 12,800원~ 15,800원
청약일: 6/7일 ~ 6/8일
환불일: 6/10일
주관사: KB증권



(주)라온테크의 전신은 2000년 3월에 설립된 (주)테크노넷이다. 2001년 5월 벤처기업으로 지정받았고, 10월에는 기업부설연구소를 세웠다. 회사 설립 초기에는 원자력 발전소 정비용 특수 로봇, 터널과 관로 검사용 로봇 등을 대기업으로부터 수주하여 개발 공급하는 엔지니어링을 하여 기술을 축적했다.

2002년 6월 상호를 (주)테크노넷에서 (주)나온테크로 변경하였고, 12월 반도체 이송 로봇을 개발했다. 2003년부터 반도체용 로봇과 자동창고인 풉 스토커(FOUP Stocker)에 공급되는 로봇, 풉(FOUP)을 이송하는 로봇 등을 국내 반도체 제조사와 협업 개발하고 라인에 공급하였다. FPD 로봇 분야에서는 5세대에서 7세대급 기판이송 로봇의 모듈, LCD 패널의 자동창고인 카세트 스토커(Cassette Stocker)용 로봇 등을 개발하여 국내 LCD 제조사에 공급하였다.

2005년부터 외부 투자기관으로부터 자본 투자를 받고 본사를 경기도 안산시 반월공단으로 이전했다. 2006년 6월 다관절 로봇 기구를 적용한 고속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 모듈을 개발했다. 반도체 이송용 로봇과 EFEM 모듈을 개발한 뒤 국내 반도체 제조사 반도체 제조라인에 2009년부터 양산 적용을 시작하여 100대 이상의 EFEM을 공급하였다.

2010년 5월 지식경제부의 박막형 태양전지 제조공정용 로봇시스템 개발 과제에 선정되었다. 2011년 반도체 진공로봇 및 백본(Backbone)을 국내 반도체 제조사 반도체 제조라인에 양산 공급을 시작하여 60여 대의 백본을 공급함으로써 자체 진공로봇으로 시장진입에 성공한 첫 번째 회사가 되었다. LCD분야에서는 소형 기판이송 로봇을 개발하여 국내 LCD 제조사 LCD 라인에 수백 대 공급하였으며, 진공 로봇과 진공 이송 모듈인 클러스터 툴(Cluster Tool)을 개발하여 OLED 라인에 양산 공급을 시작하였다. 일반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는 음 · 식료품,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 패키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델타로봇을 개발하였다.

2013년 5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인증을, 2015년 5월 Processing Machine Industrial Robot DeltaFly CE(TUV Rheinland) 인증을 각각 획득했다. 2014년 8축 지능형 웨이퍼 이송 진공 로봇을 개발했다. 2015년 델타로봇을 적용한 식품 제조 및 패키징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했다. 2016년 8월 수원산업단지 신사옥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사명을 (주)라온테크로 변경했다.

(주)라온테크는 제조업용 로봇(Robot)과 자동화 시스템(FA)을 개발 공급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은 반도체 제조라인에서 웨이퍼(Wafer)를 이송하는 로봇과 웨이퍼 이송 자동화 툴(Tool)인 EFEM과 백본(Backbone)으로 구성된 플랫폼, FPD 제조 라인에서 글래스(Glass)와 카세트(Cassette)를 이송하는 로봇과 진공환경에서 기판을 이송하는 자동화 모듈인 클러스터 툴(Cluster Tool), 그리고 음 · 식료품, 약품, 화장품 제조라인의 패키징 공정에서 제품을 고속으로 이송하는 델타 로봇(Delta Robot)과 로봇을 이용한 제조라인 자동화 시스템이다.

2016년 12월 말 기준 (주)라온테크의 최대주주는 김원경 대표이사이며, 보유 지분은 30.15%다.

 

 

 

엘비루셈 공모주 청약 일정 (tistory.com)

 

엘비루셈 공모주 청약 일정

< 엘비루셈 청약 일정 > ○ 총공모주식수 :  6,000,000 주 - 액면가 500 원 ○ 상장공모 신주모집 : 4,000,000 주 (66.67%) ○ 희망공모가액 : 12,000 ~ 14,000원 ○ 확정공모가 : 미정 ○ 주간사 - 한국투자증..

cotmoo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