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

경기도 공공버스 예약 탑승 (공공버스 간편예약제)

따뜻한 콧물 2021. 4. 22. 13:13
반응형

22일부터 ‘공공버스 간편예약제’ 시범서비스 시행
8155, 8156, 1002, 1008 사당역 운행 공공버스 4개 노선

 

‘버스 도착 시각에 맞춰 정류장에 가서 내가 원하는 버스를 바로 타는 것.’

버스를 타기 위해 오랜 시간 줄을 서서 기다려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던 일이다. 머릿속에서만 가능했던 이 꿈이 서울 사당역 버스 정류장에선 현실이 된다.
경기도가 오는 22일부터 사당역 운행 공공버스를 대상으로 경기도 공공버스를 예약하고 탈 수 있는 ‘공공버스 간편 예약제’ 시범서비스를 실시하기 때문이다.

 

경기도 ‘공공버스 간편 예약제’ 시범 실시

지하철 2호선과 4호선 환승역인 사당역 버스 정류장은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이들에게 혼잡하고 대기시간이 긴 정류장으로 악명이 높다.
실제로 지난 2019년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승차와 환승이 많아 가장 붐비는 정류장 1위에 뽑히기도 한 이곳은 하루 공공버스 이용객만 3만 명이 훌쩍 넘는다.
특히, 저녁 퇴근시간대 특정 노선의 경우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 줄만 100m가 넘는가 하면 비, 눈, 황사 등 기상악화 시에는 대기 줄끼리 서로 엉켜서 혼란을 가중시키는 일이 부지기수다.

이에 도는 사당역 버스 정류장을 이용하는 도민들의 줄 서기 불편을 해소하고 대기 시간 단축을 위해 실시간으로 예약해 탈 수 있는 ‘공공버스 간편 예약제’를 마련했다.
이번에 간편 예약제가 시범 적용되는 버스는 사당역을 운행하는 공공버스 중 배차간격이 20분 이상인 

8155번(사당역~장안면), 

8156번(사당역~향남읍), 

1002번(사당역~전곡항), 

1008번(사당역~남양읍) 

총 4개 노선이다.

 

 

스마트폰 ‘경기버스정보앱’에서 간편하게 예약

공공버스 예약은 ‘경기버스정보’ 앱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우선, 예약제 이용을 위해서는 앱을 실행한 후 사용자가 최초 1회 본인 인증 및 교통카드 등록을 해야 한다.
본인 인증과 교통카드 등록을 완료한 후 앱에서 사당역으로 오고 있는 공공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예약가능 좌석 수 등을 확인한 뒤 희망하는 버스를 예약하면 된다.
경기도는 탑승 시 혼란을 막기 위해 예약자가 먼저 탑승 후 비예약자는 잔여석에 탑승하는 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예약 및 취소는 사당역 전 정류소까지 가능하며, 버스도착 전 승차준비 알림을 통해 승객이 예약한 버스를 놓치지 않도록 지원한다.

 

 

요금 결제는 예약 때 등록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면 된다.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대지 않아도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태그리스 결제시스템’을 지원한다.

NFC기능이 없는 아이폰은 오는 6월부터 ‘태그리스 결제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는 무분별한 예약으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쇼(예약 후 미탑승)’에 따른 페널티 정책도 운영한다.
예약을 취소하지 않은 채 공공버스에 탑승하지 않은 노쇼 승객의 다음 날 평일 이용을 제한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노쇼를 하면 화요일에, 금·토·일요일에 노쇼를 하면 다음 주 월요일에 예약할 수 없다.

다만 시행초기 혼란 최소화를 위해 한시적으로 시행 한 달간 노쇼 페널티 정책을 유예한다. 

노쇼 페널티 정책은 오는 5월 22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정보취약계층 위한 현장 안내원·무인단말기 지원

이와 함께 도는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지 않은 어르신이나 외국인 등 정보취약계층도 공공버스 간편 예약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장 안내원을 지원한다.
사당역 9번, 10번 출구 버스정류소에 현장 안내원을 배치해 앱 설치 및 회원가입, 예약방법 등을 안내하며 도민들이 간편 예약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또 사당역 4번 출구에 위치한 경기버스라운지 내 무인단말기(키오스크)도 운영한다. 무인 단말기 사용 방법은 탑승할 노선, 버스, 인원수를 차례대로 선택 후 예약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탑승 시 사용할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접촉하면 된다.
공공버스 이용객 줄서기 불편 감소 등 간편예약제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향후 사당역 왕복형 전체노선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Q. 공공버스 간편예약 앱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A.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에서 ‘경기버스정보앱’을 검색 후 설치(기 설치자는 업데이트), 앱 실행 후 본인인증과 교통카드정보를 등록하면 예약 이용이 가능하다.

Q. 예약 가능한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A. 사당역 방면으로 운행 중인 차량의 사당역 전 정류소 도착 시 까지 예약할 수 있고, 예약한 버스는 사당역 정류소에서 탑승할 수 있다.

Q. 예약 취소는 어떻게 하나요?
A. 경기버스정보앱 또는 키오스크 예약확인에서 취소 가능하다. 단, 예약한 버스가 사당역 전 정류소 출발 전까지만 예약을 취소할 수 있다.

Q. 요금은 어떻게 결제하나요?
A. 차량 탑승 시, 예약할 때 등록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 시 결제된다. 반드시 예약할 때 등록한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Q. 환승할인이나 청소년 할인도 가능한가요?
A. 버스, 지하철 이용 시 사용한 교통카드가 동일하면 환승할인 적용 가능. 청소년 할인은 앱에 등록하는 교통카드가 청소년 카드라면 할인 적용이 가능하다.

Q.버스 승차에 있어 예약자와 비예약자 간 차이가 있는가요?
A. 버스 승차 시 예약자가 먼저 탑승하고 예약자 탑승완료 후 비예약자가 탑승한다. 예약자와 비예약자 구분은 버스 정류소에 설치된 대기 유도선을 통해 예약자와 비예약자의 대기 줄을 달리할 계획이다.

Q. 스마트폰이 없는 승객은 어떻게 예약하나요?
A. 현장안내원 또는 키오스크(경기버스라운지 내)를 통해 예약이 가능하다.

Q. 다인승은 어떻게 예약하나요?
A. 모바일 앱, 현장안내원, 키오스크를 통해 최대 3인까지 다인승 예약이 가능하다. 단 태그리스 서비스 이용자는 다인승 예약이 지원되지 않는다.

Q. 현장안내원은 언제, 어디서 근무하나요?
A. 평일은 사당역 9번, 10번 출구 정류소에서 오후 4시부터 막차 시까지, 주말은 8155노선에 한해 오후 3시부터 11시까지 근무한다.

 

*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청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반응형